A
-
함수에서 사용되는 스프레드 연산자와 rest연산자를 학습해본다. function sum(a, b, c, d, e, f, g) { return a + b + c + d + e + f + g; } console.log(sum(1,2,3,4,5,6)) 위의 코드는 예를 들어서 sum이라는 함수에 파라미터가 총 7개가 있는데 만약에 sum함수에 파라미터를 6개만 담는다면? 과연 콘솔 결과에는 어떻게 표시가 될까? NaN 이라고 뜬다. 이유는 하나가 undifiend기 때문이다. sum함수의 파라미터 갯수와 다른 갯수를 넣었을 때, NaN이라고 안뜨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많은 방법이 있겠지만 if를 사용해서 하나하나 처리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function sum(a, b, c ,d , e, f ,g)..
javascript] 함수 파라미터에서의 spread 연산자와 rest연산자.함수에서 사용되는 스프레드 연산자와 rest연산자를 학습해본다. function sum(a, b, c, d, e, f, g) { return a + b + c + d + e + f + g; } console.log(sum(1,2,3,4,5,6)) 위의 코드는 예를 들어서 sum이라는 함수에 파라미터가 총 7개가 있는데 만약에 sum함수에 파라미터를 6개만 담는다면? 과연 콘솔 결과에는 어떻게 표시가 될까? NaN 이라고 뜬다. 이유는 하나가 undifiend기 때문이다. sum함수의 파라미터 갯수와 다른 갯수를 넣었을 때, NaN이라고 안뜨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많은 방법이 있겠지만 if를 사용해서 하나하나 처리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function sum(a, b, c ,d , e, f ,g)..
2021.12.18 -
자바스크립트의 스프레드 연산자와 rest연산자를 알아본다. 이런 객체가 있다고 가정해본다. const slime = { name: '슬라임' } const cuteSlime = { name: '슬라임', attr: 'cute' } const pinkCuteSlime = { name : '슬라임', attr: 'cute', color: 'purple' } console.log(slime); console.log(cuteSlime); console.log(pinkCuteSlime); 각각 다른 슬라임이지만 공통적인 부분이 보인다. 이 부분을 ... Spread 연산자를 사용해서 중복되는 부분을 사용해본다. const slime = { name: '슬라임' } const cuteSlime = { ...slim..
javascript] spread와 rest 연산자자바스크립트의 스프레드 연산자와 rest연산자를 알아본다. 이런 객체가 있다고 가정해본다. const slime = { name: '슬라임' } const cuteSlime = { name: '슬라임', attr: 'cute' } const pinkCuteSlime = { name : '슬라임', attr: 'cute', color: 'purple' } console.log(slime); console.log(cuteSlime); console.log(pinkCuteSlime); 각각 다른 슬라임이지만 공통적인 부분이 보인다. 이 부분을 ... Spread 연산자를 사용해서 중복되는 부분을 사용해본다. const slime = { name: '슬라임' } const cuteSlime = { ...slim..
2021.12.18 -
비구조화 할당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비구조화할당에서 기본 값을 지정하는 방법. const object = { a: 1, b: 2} const {a, b} = object; console.log(a); console.log(b); console.log("==============================") function print({a, b}) { console.log(a) console.log(b) } print(object) 객체를 비구조화할당하는 방법이다. name을 꺼내와서 사용해도되지만 {name : nickname} 같이 nickname이라는 명칭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const animal = { name : '멍멍이', type : '개' } //const nickname = anim..
javascript] 비구조화 할당비구조화 할당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비구조화할당에서 기본 값을 지정하는 방법. const object = { a: 1, b: 2} const {a, b} = object; console.log(a); console.log(b); console.log("==============================") function print({a, b}) { console.log(a) console.log(b) } print(object) 객체를 비구조화할당하는 방법이다. name을 꺼내와서 사용해도되지만 {name : nickname} 같이 nickname이라는 명칭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const animal = { name : '멍멍이', type : '개' } //const nickname = anim..
2021.12.18 -
자바스크립트에서 기본 함수의 파라미터를 어떻게 정의하는지 알아보자. function calcCircleArea(r) { const radius = r || 1; return Math.PI * radius * radius; } const area = calcCircleArea(); console.log(area) 위의 코드는 함수 안에 파라미터가 없을 때 기본 값을 1로 지정하게끔 하는 코드이다. 아래는 기본 값을 지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방법이다. //1. function calcCircleArea(r = 1) { const radius = r || 1; return Math.PI * radius * radius; } const area = calcCircleArea(); console.log(area)..
javascript] 함수의 기본파라미터자바스크립트에서 기본 함수의 파라미터를 어떻게 정의하는지 알아보자. function calcCircleArea(r) { const radius = r || 1; return Math.PI * radius * radius; } const area = calcCircleArea(); console.log(area) 위의 코드는 함수 안에 파라미터가 없을 때 기본 값을 1로 지정하게끔 하는 코드이다. 아래는 기본 값을 지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방법이다. //1. function calcCircleArea(r = 1) { const radius = r || 1; return Math.PI * radius * radius; } const area = calcCircleArea(); console.log(area)..
2021.12.16 -
논리연산자를 이용해서 코드를 더 짧게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전에 있던 Truthy한 값과 Falsy한 값에서 좀 더 나아가보자. const dog = { name: '멍멍이' } function getName(animal) { // 1번째 코드 if(animal) { return animal.name; } return undefined; //----------------------------------- // 2번째 코드 return animal && animal.name } const name = getName(dog); console.log(name) 위의 코드에 1번과 2번은 같은 결과를 내준다. 2번 코드가 어떻게 1번과 같을까? 앞에 부분이 true가 되면 뒤의 값이 오게 된다. 아래의 코드를..
javascript] 단축평가 논리계산법.논리연산자를 이용해서 코드를 더 짧게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전에 있던 Truthy한 값과 Falsy한 값에서 좀 더 나아가보자. const dog = { name: '멍멍이' } function getName(animal) { // 1번째 코드 if(animal) { return animal.name; } return undefined; //----------------------------------- // 2번째 코드 return animal && animal.name } const name = getName(dog); console.log(name) 위의 코드에 1번과 2번은 같은 결과를 내준다. 2번 코드가 어떻게 1번과 같을까? 앞에 부분이 true가 되면 뒤의 값이 오게 된다. 아래의 코드를..
2021.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