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우스랩 Z16p pro max 터치스크린 설정 방법 보조 모니터인 제우스랩 Z16p Pro Max는 터치스크린이 가능합니다 윈도우 기준으로 작성하니 한번 따라해보세요 윈도키 + S > 제어판 검색 > 태블릿 PC 설정 설정 클릭! 이런식으로 화면이 나오게 되면 엔터키를 누릅니다. 누르게 되면 제우스랩 보조모니터에 동일한 메시지의 화면이 나옵니다. 이때 제우스랩 보조모니터를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됩니다. 이제 웹 사이트를 열고 스크롤이 긴 화면을 띄워서 테스트해봅니다! 지름s 이야기 2023.06.02
기본 생성자 없이 직렬화하기 feat. java Object to JSON 현재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서 인강을 보면서 약간 의문점이 남아서 해당 부분을 기록합니다. 테스트케이스를 작성할 때 Object형태를 JSON형식으로 RequestBody에 요청하는 케이스가 생겼습니다. 아래는 위의 설명을 코드화한 것입니다. @Test @DisplayName("/posts 요청") void test() throws Exception { PostCreate request = PostCreate.builder() // 빌더패턴을 이용했습니다. .title("제목입니다.") .content("내용입니다.") .build(); ObjectMapper objectMapper = new ObjectMapper(); // 오브젝트메퍼를 이용해 직렬화합니다. String json = objec.. 멍청멍청기록/프로젝트 일지 2023.02.25
Servlet] Intellij console log가 안나올 때 해결법 feat.SpringBoot 요즘 다시 백엔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정말 많이 돌아왔네요... 자 아무튼 김영한님의 스프링 강의를 보면서 하다가 System.out.print를 했는데 안나오시는 경우가 생겼습니다. 원인 ServletApplication의 @ServletComponentScan 어노테이션이 없어서 그렇습니다.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Servlet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ServletApplication.class, args); } } 해결 SpringBoot를 이용하는데 Boot에서 Servlet을 이용하려면 @@ServletComponentScan 어노테이션.. 개발자의 공부방/스프링 2023.02.17
Recoil] Uncaught Error: This component must be used inside a <RecoilRoot> component 에러 해결. Uncaught Error: This component must be used inside a component root.render( ); 아래처럼 를 감싸주면 된다. root.render( ); 엄청나게 쉬운걸 몰랐네.. 개발자의 공부방/Frontend 2023.01.10
자바] 함수형 인터페이스 및 람다 표현식 자바를 오랜만에 하니깐 개짜증납니다. 맥으로 인텔리제이를 하니깐 더 짜증납니다. 단축키의 노예인데 윈도우로만 작업했다가 간만에 맥으로 하려니 너무 짜증납니다람쥐 항상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면서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익숙해지고 있는 와중에 다시 자바를 하려니깐 기억이 잘 안나서 기초적인 부분을 다시 학습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 하나인 람다 표현식을 간단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아래는 뻔하디 뻔한 인터페이스와 추상 메서드입니다. 이녀석을 이용한 익명 클래스를 한번 만들어볼까 합니다. public interface FunctionalTest { void dodo(); } 보통 아래와 같은 형태를 사용하고는 합니다. 하지만 자바8의 기능인 람다를 사용해서 간결하게 표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mport java.ut.. 개발자의 공부방/자바 2022.10.12
시놀로지] 포트포워딩 후 접속 안되는 문제 해결 방법 개요 나스에서 어떤 작업을 하면서 포트를 설정하고, 이때 ASUS 공유기 내 포트포워딩 페이지에서 포트를 맞췄는데 접속이 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상황 예시 현재 doker를 이용해 컨테이너를 올린 이미지입니다. 해당 포트를 보면 로컬포트가 8989라고 되어 있습니다. (컨테이너 포트는 지금 포스팅에서 이용되지 않으니 패스!) ASUS 공유기 포트포워딩 페이지에 아래 스샷처럼 포트포워딩을 했습니다. 맨 아래를 보시면 docker_ds_nginx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위 도커 컨테이너에 설정된 로컬포트와 동일함을 볼 수 있습니다. 자, 이제 나스의 해당 IP:포트로 접속을 해서 정상적으로 페이지가 뜨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ex) 192.168.1.1:8989 이런식으로 접속! 접속.. 개발자의 공부방/NAS 2022.09.15
네트워크 기초] Contents-Type Header 그리고 Accept Header Contents-Type 컨텐츠 타입은 말 그대로 해당 컨텐츠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것을 의미하는데 정의하자면 자원의 형식을 알려주기 위해 Header에 실리는 정보를 말한다. 조금 더 쉽게 말하면 해당 리소스의 미디어 유형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Accept Header 요청한 유형을 헤더에 표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클라이언트가 나는 꼭 JSON으로 보내줘 혹은 XML로 보내줘라고 서버에 (요청)알리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contents-type은 현재 전송하는 데이터가 어떤 타입인지에 대해서 설명하는 개념이고 accept header는 클라이언트가 서버한테 특정한 데이터 타입을 보낼 때 이 요청을 받은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한 데이터타입으로만 응답을 해야하는 하나의 약속 같은 개념이다. 개발자의 공부방/웹 2022.08.30
이직 일기 001] 너무 짜증난다 임금체불로 인해서 결국에는 퇴사를 했ㅅㅂ니다 참... 여러가지로 다이나믹한 회사였습니다 -,-... (인생에서 다시는 느껴보고 싶지 않은 경험입니다) 8/8 이후에 포트폴리오와 경력기술서를 작성하고 부족했던 CS공부도 해야하고... 의외로 참 많이 바빴습니다.. 이번에는 무작정 서류만 넣지말아야겠다 생각을 하면서 꼼꼼히 회사를 선택해 서류를 넣었으나... 100% 다 탈락했습니다... 현재 가만보면 약 1년 9개월의 백엔드 포지션으로 있다가 최근까지는 프론트엔드의 포지션으로 있으니... 백엔드 포지션의 직무로 서류를 넣으면 무조건 탈락하는 것 같습니다.. 최대한 멘탈을 붙잡으려고 했으나 참 의욕이나 그런게 하나도 안생기더군요ㅠㅜ.. 뭐 어쩌겠습니까! 제가 마음에 안들고 그렇다는뎁... 그래도 다시 한번 .. 주절주절 2022.08.24 (1)
회고] TIL 스터디 회고 저번 TIL에 관한 포스팅을 6월 1일에 하고 거의 한달이 지났네요. 회사 내 사원들끼리 같이 성장하고싶은 마음에 만들었던 스터디 프로젝트(?)였는데 생각보다 다들 잘 해줘서 주최자 입장에서 꽤나 만족스러웠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한달동안 TIL을 진행하면서 어떤 방식으로 했고 또 무엇이 부족했으며, 보완은 어떻게 했는지에 대해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당 진행방식, 그리고 한달 동안의 결과 저희 TIL은 일단 주제가 없으며, 의무적으로 해야하는 방식으로 하지는 않았습니다. 업무상에서 내가 알아야하는 부분 혹은 개인적으로 공부 or 궁금했던 것에 대한 것들을 자유롭게 쓰는 것을 목적으로 했으며, 해당 부분의 글을 모두가 공유하기때문에 지식적인 부분에서 같이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었습니다. TIL 노션 폼을 .. 주절주절 2022.07.03
JS] console.log JSON Depth 표기 하는 방법. 보통 로그를 작성할 때 JSON.stringify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 콘솔 로그 작성 console.log('==> log : ', JSON.stringify(events)); 출력 결과물은 아래와 같이 정신없이 나온다... ==> events_2, [{"blockNumber":12326143,"blockHash":"0x31aed0d4af44d396f6b33c86e363278496bbdacb2c0ac7a73f77044778d880c5","transactionIndex":8,"removed":false,"address":"0x229B066b8b9D198802C82b6B68397E1Da138c6F0","data":"0x","topics":["0x342827c97908e5e2f71151c0.. 개발자의 공부방/Frontend 2022.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