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의 공부방/git 28

git] git 한글 깨짐 완벽 해결 방법

안녕하세요! 개발을 시작했지만 아직도 모르는게 너무나 많은 초보 개린이 입니다. 오늘은 인텔리제이 및 CMD, git Bash 등에서 한글 깨짐을 완벽하게 타파(?) 하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https://jjunii486.tistory.com/151?category=790335 전에도 포스팅 했지만 이 방법을 사용하면 일단은 인텔리제이 내부 console 에서는 한글이 나오기는 합니다. 하지만 인텔리제이를 껐다가 다시 실행하면... 한번 더 위의 명령어를 해줘야하지요... 결국에 포기하고 없는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5분도 안되는 셋팅으로 영구적(?)으로 한글 깨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위의 방법을 환경변수에 그대로 입력하면 끝 입니다! 아래는 과정입니다. ..

git] 실전 상황에서 쓰이는 git

깃 관련 인텔리제이 한글 표시 set LC_ALL=ko_KR.UTF-8 깃 변경받기 : git pull --rebase origin develop 로컬 커밋합치기 : git rebase -i HEAD~2 => 가장 상위의 커밋만 놔두고 pick을 다 s 로 고친다 git add . git rebase 푸쉬 : git push --force git 머지 리퀘스트 하고 나서는 새로운 브런치를 따서 작업. 새로운 브런치를 만들 때는 develop 을 기준으로 해서 만들어야함. git reset --HARD 내가 작업한게 있는 상황에서 merge develop를 하지 않았을 때 git pull --rebase 를 해서 작업한 내역을 올린다. 그리고 기존에 작업했던 commit 이 올라오고 최신으로 올라온 브런치..

git] commit 되돌리기 feat. Reset

git commit 을 하면 commit 이력이 남는다. git reset --soft [HAED의 번호] ex) git reset --soft fa555d6 이렇게 사용을 한다. soft 와 hard 옵션이 따로 있는데 되도록이면 soft 를 사용하는게 좋을 듯 하다. 아래의 출처를 들어가면 Reset 과 Revert 를 정말 이해하기 쉽게 알려준다. 출처 : https://www.devpools.kr/2017/02/05/%EC%B4%88%EB%B3%B4%EC%9A%A9-git-%EB%90%98%EB%8F%8C%EB%A6%AC%EA%B8%B0-reset-revert/

git] 다시 생각해보자. feat. commit 과 push 그리고 local 저장소와 remote 저장소

local repository = 현재 내 컴퓨터 remote repository = 깃 원격 저장소(깃허브 계정을 이용해서 저장소를 만든 곳) git commit 을 했다는건 현재 내 Local 에 올렸다는 것이다. 즉, Remote 원격 저장소에 올라갈 준비를 했다는 것! 여기서 알아두면 좋은 것은...만약에 git commit 을 했는데 "앗? 잘못작성했는데? 다시 commit 해야해" 라고 한다면 reset 을 사용하면 된다. git commit 후 push 라는 것은 remote 원격 저장소에 올린다는 것이다. 위와 비슷한 상황에서 되돌리려면 revert 라는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