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
방법 1) Run => Edit Configurations 으로 들어갑니다. VM options 옵션에 포트를 입력하면 됩니다. -Dserver.port=입력할포트 ex) -Dserver.port=9100 방법 2)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server.post=8080 을 입력.
스프링부트] 서버 포트 바꾸기방법 1) Run => Edit Configurations 으로 들어갑니다. VM options 옵션에 포트를 입력하면 됩니다. -Dserver.port=입력할포트 ex) -Dserver.port=9100 방법 2)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server.post=8080 을 입력.
2020.03.16 -
//테스트 코드 작성 시 아래와 같은 에러 발생. Unable to find a @SpringBootConfiguration, you need to use @ContextConfiguration or @SpringBootTest(classes=...) with your test Unable to find a @SpringBootConfiguration, you need to use @ContextConfiguration or @SpringBootTest(classes=…) with your test 라는 오류가 발생한다면 @SpringBootApplication 애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가 존재하는 패키지의 하위 패키지에 테스트를 둬야 한다는 원칙을 어긴 것이다. 예: a.b.c.Application 이라..
스프링부트 에러] Unable to find a @SpringBootConfiguration, you need to use @ContextConfiguration or @SpringBootTest(classes=...) with your test//테스트 코드 작성 시 아래와 같은 에러 발생. Unable to find a @SpringBootConfiguration, you need to use @ContextConfiguration or @SpringBootTest(classes=...) with your test Unable to find a @SpringBootConfiguration, you need to use @ContextConfiguration or @SpringBootTest(classes=…) with your test 라는 오류가 발생한다면 @SpringBootApplication 애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가 존재하는 패키지의 하위 패키지에 테스트를 둬야 한다는 원칙을 어긴 것이다. 예: a.b.c.Application 이라..
2020.03.16 -
스프링부트를 배우려는 찰나에 이 책을 알게 되고 공부를 하려고 하는 중... 첫판부터 계속 뭐가 안된다.. 이에 대한 에러와 해결법을 작성해본다. MockHttpServletRequest: HTTP Method = GET Request URI = /hello/dto Parameters = {name=[hello], amount=[1000]} Headers = [] Body = Session Attrs = {SPRING_SECURITY_SAVED_REQUEST=DefaultSavedRequest[http://localhost/hello/dto]} Handler: Type = null Async: Async started = false Async result = null Resolved Exception: ..
SpringBoot]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서비스 연습!스프링부트를 배우려는 찰나에 이 책을 알게 되고 공부를 하려고 하는 중... 첫판부터 계속 뭐가 안된다.. 이에 대한 에러와 해결법을 작성해본다. MockHttpServletRequest: HTTP Method = GET Request URI = /hello/dto Parameters = {name=[hello], amount=[1000]} Headers = [] Body = Session Attrs = {SPRING_SECURITY_SAVED_REQUEST=DefaultSavedRequest[http://localhost/hello/dto]} Handler: Type = null Async: Async started = false Async result = null Resolved Exception: ..
2020.03.15 -
웹사이트에서 HSTS를 사용하므로 지금은 ...com 에 방문할 수 없습니다. 네트워크 오류와 공격은 대체로 일시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나중에 이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항상 접속이 가능했던 내 나스가 접속이 불가능해졌다.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핸드폰 LTE 에서도 접속이 안된다. 검색 중 크롬에서 이런 설정이 있었다. HSTS 삭제!! chrome://net-internals/#hsts 크롬에서 위 주소를 크롬 주소탭에 입력 후 엔터! 여기에서 Delete domain security policies 에 자기 시놀 도메인을 넣고 Delete 버튼을 누르면 된다. 그러면 접속이 된다. 하지만 여전히 핸드폰과 다른 PC에서는 안되고 HSTS 삭제 설정을 한 기기에서만 접속이 된다..... ..
시놀로지] 나스 시놀로지 DSM 홈페이지 접속 불가능 할 때 feat. HSTS웹사이트에서 HSTS를 사용하므로 지금은 ...com 에 방문할 수 없습니다. 네트워크 오류와 공격은 대체로 일시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나중에 이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항상 접속이 가능했던 내 나스가 접속이 불가능해졌다.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핸드폰 LTE 에서도 접속이 안된다. 검색 중 크롬에서 이런 설정이 있었다. HSTS 삭제!! chrome://net-internals/#hsts 크롬에서 위 주소를 크롬 주소탭에 입력 후 엔터! 여기에서 Delete domain security policies 에 자기 시놀 도메인을 넣고 Delete 버튼을 누르면 된다. 그러면 접속이 된다. 하지만 여전히 핸드폰과 다른 PC에서는 안되고 HSTS 삭제 설정을 한 기기에서만 접속이 된다..... ..
2020.03.14 -
git remote remove origin 이렇게 하면 현재 내가 원격 저장소와 연결된 것을 끊는다. git remote -v 를 실행하면 아무것도 뜨지 않는다. 이상태에서 git add . 혹은 git commit -am "메시지" 를 하면 저장소가 없다는 메시지만 무한으로 로딩이 된다. 이때는 ctrl + c 를 눌러서 무한루프를 빠져나온다.
git] git remote 원격 저장소 끊기 feat. 원격 저장소 연결 해제git remote remove origin 이렇게 하면 현재 내가 원격 저장소와 연결된 것을 끊는다. git remote -v 를 실행하면 아무것도 뜨지 않는다. 이상태에서 git add . 혹은 git commit -am "메시지" 를 하면 저장소가 없다는 메시지만 무한으로 로딩이 된다. 이때는 ctrl + c 를 눌러서 무한루프를 빠져나온다.
2020.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