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의 공부방
-
var Table = $('#table').DataTable({ "destroy": true, //테이블 재생성 "paging": true, //페이징처리 "ordering": true, //칼럼별 정렬기능 "autoWidth": false, //가로자동 "lengthChange": true, //데이터건수 변경 "pageLength": 50, //기본 데이터건수 "lengthMenu": [[50, 100, 1000], [50, 100, "Max(1000)"]], //데이터건수옵션 "order": [15,'desc'], //기본 정렬칼럼 "searching": false, //검색 "scrollX": true, //가로 스크롤 "ajax": function (data, callback, settings)..
데이터테이블 DataTable] 옵션var Table = $('#table').DataTable({ "destroy": true, //테이블 재생성 "paging": true, //페이징처리 "ordering": true, //칼럼별 정렬기능 "autoWidth": false, //가로자동 "lengthChange": true, //데이터건수 변경 "pageLength": 50, //기본 데이터건수 "lengthMenu": [[50, 100, 1000], [50, 100, "Max(1000)"]], //데이터건수옵션 "order": [15,'desc'], //기본 정렬칼럼 "searching": false, //검색 "scrollX": true, //가로 스크롤 "ajax": function (data, callback, settings)..
2020.03.20 -
DataTables Cannot read property 'length' of undefined 이라는 에러. 기본적으로 ajax 에서 받아오는 데이터를 화면 (JSP) 에 뿌릴 때 데이터 수와 테이블 수가 달라서 안나오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번에 나온 경우는 BackEnd 에서 ajax 로 넘길 값을 서비스impl 에서 담지 않고 보내서 나는 에러였다. package kr.co.smartix.service.impl; import kr.co.smartix.common.domain.PageResource; import kr.co.smartix.domain.company.CompanyVO; import kr.co.smartix.domain.member.MemberVO; import kr.co.smarti..
DataTable] DataTables Cannot read property 'length' of undefined 에러DataTables Cannot read property 'length' of undefined 이라는 에러. 기본적으로 ajax 에서 받아오는 데이터를 화면 (JSP) 에 뿌릴 때 데이터 수와 테이블 수가 달라서 안나오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번에 나온 경우는 BackEnd 에서 ajax 로 넘길 값을 서비스impl 에서 담지 않고 보내서 나는 에러였다. package kr.co.smartix.service.impl; import kr.co.smartix.common.domain.PageResource; import kr.co.smartix.domain.company.CompanyVO; import kr.co.smartix.domain.member.MemberVO; import kr.co.smarti..
2020.03.20 -
사용하는 쿼리에서 가져오는 것이 있으면 resultMap 에 result 를 DB의 컬럼을 다 쓸 필요가 없이 사용하는 부분만 로 작성해서 하면 된다.
Mybatis] 끄적끄적사용하는 쿼리에서 가져오는 것이 있으면 resultMap 에 result 를 DB의 컬럼을 다 쓸 필요가 없이 사용하는 부분만 로 작성해서 하면 된다.
2020.03.20 -
git branch --set-upstream-to origin/feature-01
git] 원격 branch 변경하기.git branch --set-upstream-to origin/feature-01
2020.03.19 -
local repository = 현재 내 컴퓨터 remote repository = 깃 원격 저장소(깃허브 계정을 이용해서 저장소를 만든 곳) git commit 을 했다는건 현재 내 Local 에 올렸다는 것이다. 즉, Remote 원격 저장소에 올라갈 준비를 했다는 것! 여기서 알아두면 좋은 것은...만약에 git commit 을 했는데 "앗? 잘못작성했는데? 다시 commit 해야해" 라고 한다면 reset 을 사용하면 된다. git commit 후 push 라는 것은 remote 원격 저장소에 올린다는 것이다. 위와 비슷한 상황에서 되돌리려면 revert 라는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git] 다시 생각해보자. feat. commit 과 push 그리고 local 저장소와 remote 저장소local repository = 현재 내 컴퓨터 remote repository = 깃 원격 저장소(깃허브 계정을 이용해서 저장소를 만든 곳) git commit 을 했다는건 현재 내 Local 에 올렸다는 것이다. 즉, Remote 원격 저장소에 올라갈 준비를 했다는 것! 여기서 알아두면 좋은 것은...만약에 git commit 을 했는데 "앗? 잘못작성했는데? 다시 commit 해야해" 라고 한다면 reset 을 사용하면 된다. git commit 후 push 라는 것은 remote 원격 저장소에 올린다는 것이다. 위와 비슷한 상황에서 되돌리려면 revert 라는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2020.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