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의 공부방/스프링 스프링 기초] 스프링 프레임워크 Request Life Cycle - 728x90 반응형 ** 스프링 프레임 워크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 ** 1) user(클라이언트) 로부터 요청이 들어온다. 2) user의 요청으로 인하여 DispatcherServlet 이 반응한다. 3) Controller 에 연결을 하기 위해 HandlerMapping을 참조한다. 4) Contoller 로 넘어간 요청은 Service를 호출하여 필요한 데이터들을 DAO를 통해 DB에서 꺼내온다. 5) 꺼내온 데이터들을 ModelAndView & Model 이라는 객체에 담아 다시 DispatcherServlet에 반환한다. 6) ViewResolver 를 통해서 비로소 View와 연결되고 화면으로 출력된다. *기본적인 동작의 개념입니다. 출처 : https://steady-snail.tistory.com/66?category=788300 반응형 공유하기 URL 복사카카오톡 공유페이스북 공유엑스 공유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준수한쭈니네 Contents 당신이 좋아할만한 콘텐츠 스프링 기초] DI (Dependency Injection)란? 2019.05.21 스프링 기초] 컨테이너와 IoC (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 란? 2019.05.21 Simple Project와 Spring MVC Project 차이점? 그리고 Spring Project와 Spring Legacy Project 차이점은?? 2019.03.19 스프링이란?? 2019.03.18 댓글 1 + 이전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