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제목을 어떻게 해야할지 애매하다.
기존에 명령프롬프트, CMD, Terminal 에서 gradle을 이용해서 war를 묶을 때
보통은 명령어로 진행한다.
gradlew tadmin:build -Pprofile=stg
또한 프로젝트에 운영, 개발, 로컬 등으로 Properties를 따로 설정했을 때
명령어 뒤에 옵션으로 "-Pprofile=stg"을 붙여야 한다.
하지만 Intellij를 사용했을 때 위의 명령어를 사용하지 않고 war로 빌드하는 방법이 있다.
현재 아래와 같이 Dev, Local, Stg 이런식으로 용도에 맞게 프로퍼티들을 따로 분류 시켰다.
멀티 프로젝트로 되어 있다보니 Gradle의 Task도 총 3개로 나뉘어진다.
아래와 같이 war로 묶을 프로젝트를 선택 후 Etdit '~~~' with 'java Fligth Recorder' 을 선택한다.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옵션창이 뜨는데 위에서 설명했듯이 옵션을 줘야하는 경우에는
Arguments에 -Pprofile=stg를 써주면 된다.
반응형
'개발자의 공부방 > 에디터 & 유틸리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code] 새파일, 새폴더 단축키 설정하는 방법 feat. 윈도우 기준 (0) | 2022.03.03 |
---|---|
인텔리제이 단축키 마우스로 사용하는 방법 (0) | 2021.11.16 |
VSCode] Spring Boot DashBoard 활성화 안되는 문제 해결하기. (2) | 2021.03.18 |
Intellij] SpringBoot Profile 을 설정하자 (0) | 2020.12.04 |
Intellij] 한글깨짐 인코딩 변경하기 (0) | 2020.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