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intellij 에서 한글깨짐 설정을 하는 몇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이클립스 경우에는 프로젝트가 아닌 파일 하나만 인코딩해주는 경우가 있는데 intellij도 파일 개별로 인코딩 설정을 지정해줄 수 있습니다.
1. Ctrl + Alt + S → 검색에서 File Encodings 검색합니다.
2. Global Encoding, Project Encoding, Default encoding for properties files 를 UTF-8 등으로 변경합니다.
3. 만약 파일 개별로 하려면 아래 스크린샷에서 보이는 것 처럼 path 부분에 + 를 클릭해서 해당 파일의 경로를 찾아 추가하시면 파일 단위로 인코딩이 가능합니다.
** 파일별로 인코딩 설정 좀 더 쉽게 하는 방법 **
위 스크린샷에서 보라색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보면 해당 파일이 현재 어떤 인코딩으로 되어 있는지 나오고 있습니다.
이 부분을 클릭하시고 해당 부분을 UTF-8 등으로 변경하시면 맨 위 스크린샷처럼 path 란에 개별로 등록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개발자의 공부방 > 에디터 & 유틸리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Code] Spring Boot DashBoard 활성화 안되는 문제 해결하기. (2) | 2021.03.18 |
---|---|
Intellij] SpringBoot Profile 을 설정하자 (0) | 2020.12.04 |
Intellij] 주석처리 단축키 실행 시 ¿ 역 물음표 해결방법 feat.드디어 알았다. (6) | 2020.11.30 |
IntelliJ] 인텔리제이 Modules 추가해서 HelloWorld 찍기 (0) | 2020.05.29 |
[DBeaver] DBeaver Disable Auto Alias 별칭 자동완성 끄기 (0) | 2020.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