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형변환
1. 묵시적 자료형의 변환
- 작은 타입에서 큰 타입으로는 자동 형변환.
- byte → short → int → long → float → double
- 예) double res = Math.sqrt(2); // 루트값을 나타내는 메소드, 정수를 넣었는데 자동으로 형변환이 됨.
- 예) double da = int_val;
(이런 느낌이랄까...?)
2. 명시적 자료형의 변환
- 큰 타입에서 작은 타입으로 변환할 떄는 명시적 형변환이 필요
- 캐스트연산잔(cast operator)를 사용
- 값의 정밀도를 잃을 수 있다.
- 문법은 (자료형) 피연산자
- 예) float f = (float)5.5;
- 예) long la = (long)float_value;
반응형
'개발자의 공부방 > 자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기초] 제어문이란? (0) | 2019.03.07 |
---|---|
자바 기초] 연산자 (0) | 2019.03.07 |
자바 기초] 상수와 리터럴 (0) | 2019.03.06 |
자바 기초] 변수와 자료형 그리고 참조형 (0) | 2019.03.06 |
자바 기초] 식별자 (0) | 2019.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