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의 공부방/git git] 실전 상황에서 쓰이는 git - 728x90 반응형 깃 관련 인텔리제이 한글 표시 set LC_ALL=ko_KR.UTF-8 깃 변경받기 : git pull --rebase origin develop 로컬 커밋합치기 : git rebase -i HEAD~2 => 가장 상위의 커밋만 놔두고 pick을 다 s 로 고친다 git add . git rebase 푸쉬 : git push --force git 머지 리퀘스트 하고 나서는 새로운 브런치를 따서 작업. 새로운 브런치를 만들 때는 develop 을 기준으로 해서 만들어야함. git reset --HARD 내가 작업한게 있는 상황에서 merge develop를 하지 않았을 때 git pull --rebase 를 해서 작업한 내역을 올린다. 그리고 기존에 작업했던 commit 이 올라오고 최신으로 올라온 브런치를 체크아웃해서 다시 작업한다. 작업하는 도중에 다른팀원이 develop 에다가 merge를 했을 경우, 나는 develop 에서 소스를 받아야 한다. 그러면 git pull --rebase 를 해서 이력을 남김과 동시에 새로운 소스를 받는다. 그러면 local 브런치는 최신소스가 적용되어있고 내가 한 내용은 그대로 있다. 그럼 이제 local브런치를 원격으로 올린다. 어디브런치랑 합쳐야한다는 에러가 뜨기 때문에 git push --force 를 한다. 그럼 이제 merge 리퀘스트를 진행한다. 반응형 공유하기 URL 복사카카오톡 공유페이스북 공유엑스 공유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준수한쭈니네 저작자표시 Contents 당신이 좋아할만한 콘텐츠 git] gitignore springboot 2023.07.27 git] git 한글 깨짐 완벽 해결 방법 2020.06.29 git] GitLab 머지 리퀘스트(MR) 하기 2020.04.14 git] 현재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git 명령어 2020.04.02 댓글 0 + 이전 댓글 더보기